본문 바로가기
즐거운 취미생활

와인바와 레스토랑에서 와인 주문하는 방법과 용어

by 터앙 2023. 2. 11.
  

와인바와 레스토랑에 가면 와인 리스트에 가장 많이 등장하는 용어들이 있습니다. 와인 모임, 와인 데이트에 필수로 알아야 하는 사항인데요. 이 용어들만 알고 가도 훨씬 와인을 고르기 쉬워지고 애인에게 멋지고 지적인 사람이 될 수 있죠. 여러분도 그런 사람이 될 수 있으니 한번 아래 내용을 천천히 읽어 보시길 바랍니다.
 

 
 

  • 실전 와인 리스트 10가지 용어
내추럴 와인 (Natural Wine), 컨벤셔널 와인(Conventinal Wine), 뱅(Vln), 비노(Vino), 바인(Wein), 와인 리스트의 종류, 브뤼(Brut), 바디감, 콜키지(Corkage), 빈티지, 논-빈티지, 샤토(Chateau), 도멘(Domaine), 리저브(Reserve) or 리제르바(Reserva), 자주 보이는 품종 와인들

 

와인 리스트 용어 이것만 알아도 쉽게 읽는다.

Wine Bar 메뉴판
Wine Bar 메뉴

 

내추럴 와인 (Natural Wine), 컨벤셔널 와인(Conventinal Wine)

내추럴 와인(Natural Wine)은 인공 첨가물이 없거나 아주 적으면서 소규모의 와이너리에서 유기농 농법 등을 통해 소량 생산하는 천연 와인들을 말하는 넓은 개념이며, 컨벤셔널 와인(Conventinal Wine) 그동안 우리가 만나온 각 나라에서 기준을 정해 대량 생산하고 마트, 와인샵에서 쉽게 보는 보통의 와인들을 말합니다.
 
💡내추럴 와인(Natural Wine), 컨벤셔널 와인(Conventinal Wine)은 반대되는 개념이라고 이해하면 쉽습니다.
 
 

뱅(Vln), 비노(Vino), 바인(Wein)

세 용어들은 모두 '와인'을 뜻하는 단어입니다. 
 
💡'뱅(Vln)' 프랑스어, '비노(Vino)' 이탈리어, '바인(Wein)' 독일어의 와인을 뜻합니다.
 
와인리스트에서 세 가지 단어들이 보인다면 와인을 의미한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와인 이름에도 많이 붙어 있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와인 리스트의 종류

와인 리스트에 주로 쓰여있는 와인의 종류는 스파클링 와인(Sparkling Wine), 레드 와인(Red Wine), 화이트 와인(White Wine)으로 주로 분류를 합니다.
 

  • 스파클링 와인(Sparkling Wine): 발포성의 와인을 말하고, 유명한 샴페인이 이 스파클링 와인에 속합니다.
  • 화이트 와인(White Wine): 비앙코(Bianco), 블랑(Blanc)
  • 레드 와인(Red Wine): 루주(Rouge), 로쏘(Rosso)

✅비앙코, 블랑이라는 이름이 리스트에 있다면 화이트 와인이고 루주, 로쏘라는 단어가 있다면 레드 와인임을 알 수 있습니다. 로제 와인도 분홍 장밋빛을 띠는 와인으로 인기가 많고, 디저트 와인은 포트와인, 아이스와인 등이 있는데 식사 후 디저트와 먹는다고 해서 달콤한 경우가 많습니다.
 
 

브뤼(Brut)

'단 맛이 거의 없는'이라는 뜻을 가진 스파클링 와인이나 샴페인에서 많이 사용되는 단어입니다. 브뤼라는 단어가 적혀 있다면 달지 않은 와인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달콤한 스파클링 와인을 찾는다면 스위트(Sweet)나 돌체(Dolce)가 쓰인 와인을 찾으시면 됩니다. 
 
 

바디감

와인에서 바디감이라는 단어가 많이 쓰이는데 '입안에서 느껴지는 와인의 무게감'이라고 생각하시면 쉽습니다. 쉽게 설명해 보면 우유와 물을 입에 머금었을 때 물은 우유보다 가벼운 느낌 아라 '가벼운 바디감', 우유는 물보다 무거운 느낌이라 '무거운 바디감'으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 풀바디(Full body): 와인이 입안에서 느껴지는 무게감이 있을 때 표현
  • 라이트 바디(Light body): 와인이 상대적으로 가벼울 때 표현
  • 미디엄바디(Medium body): 중간으로 느껴질 때 표현

 

콜키지(Corkage)

레스토랑이나 와인바에서 개인이 가지고 온 주류 즉 와인을 일정 비용을 내고 그곳에서 마시는 것을 말합니다.
 
와인 리스트에 '콜키지 비용은 얼마'라고 쓰여있다면 그 금액을 내면 와인을 직접 가져와 먹어도 좋다는 뜻입니다. 그 비용이 무료인 곳들이 '콜키지 프리'인 곳이며 와인 가져가서 마시기 좋아하는 분들께 인기가 많습니다.
 
 

빈티지(vintage), 논-빈티지(Non-vintage)

와인 리스트에 보면 와인 옆에 숫자가 쓰여 있습니다. (2008, 2010, 2011,,,,) 이 숫자들을 '빈티지(vintage)'라고 말합니다.
포도를 수확한 연도를 말하며 반대로 여러 해 수확한 포도를 섞어 만든 와인은 따로 빈티지 표시를 하지 않기도 하고, 스파클링 와인이나 샴페인 들은 'NV (Non-Vintage)'라고 표시하기도 합니다.
 
 

샤토(Chateau), 도멘(Domaine)

프랑스 와인에서 많이 보이는 용어로 '와이러니, 포도원'을 의미한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프랑스 보르도 와이너리 지역 와인들에 '샤토'가 많이 사용되고 프랑스 부르고뉴 와이너리 지역 와인들에 '도멘'이 많이 쓰여있습니다. 
 
💡와이너리는 양조장을 의미하니 둘 다 와인 이름에 많이 붙습니다.
 

 
 

리저브(Reserve) or 리제르바(Reserva)

와인 이름에 리저브(Reserve) 혹은 리제르바가 있는 경우 스페인 등 여러 나라에서 숙성기간이 좀 더 긴 와인들을 말합니다. 몇 년 이상 숙성할 경우 '리저브'를 쓸 수 있는 기준이 있습니다. 와인 이름에 '리저브'가 있다면 와이너리에서 다른 와인들에 비해 조금 더 숙성시킨 와인이라 생각하시면 됩니다. 
 
⚠️칠레를 포함해 몇몇 나라에서는 '리저브'라는 단어를 와인 이름에 그냥 붙일 수 있습니다. 와인 품질의 절대적인 기준으로 보면 안 되고 맛있는 와인 정도의 의미로만 이해하시면 되겠습니다.
 
 

자주 보이는 품종 와인들

와인 이름에는 와인 포도 품종이 들어가는 경우가 많습니다. 
 

  • 까베르네 소비뇽(Cabernet Sauvignon): 대부분 레드와인이며 드라이하고 바디감이 무거워 고기 등과 잘 어울립니다. (세계에서 가장 유명한 와인 포도 품종 중 하나입니다.
  • 메를로(Merlot): 상대적으로 과실향이 풍부해 여러 음식에 잘 어울리는 레드 와인으로 유명합니다. 
  • 피노 누아(Pinot Noir): 고가의 와인이 많으며 그만큼 섬세하고 부드러운 맛을 내는 레드 와인이 많습니다.  
  • 샤르도네(Chardonnay): 가장 많이 마시는 화이트 품종 중 하나로 다양한 음식에 두루 어울려 많은 사람들이 좋아합니다. 
  • 소비뇽 블랑(Sauvignon Blanc): 가볍고 산도가 높아서 여름철에 시원하게 마시면 좋은 와인입니다.
  • 모스카토(Moscato): 달콤한 와인으로 많이 만들어집니다. 

🍷이 외에도 무수히 많은 포도 품종들이 있으며 맛과 향 특성을 알아 둔다면 와인을 고르고 즐기는데 행복감을 느끼실 수 있습니다.
 

댓글